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유해물질 검출

    최근 공기청정기 호환 필터 8종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생물제인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검출되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됩니다. 

     

    사건 개요

     

    • 한국소비자원과 환경부는 공기청정기 호환 필터 42종을 조사한 결과, 8종의 필터에서 MIT가 최소 1.9㎎/㎏에서 최대 10.7㎎/㎏까지 검출되었다고 밝혔습니다. MIT는 호흡기와 피부, 눈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필터형 보존처리제품에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공기청정기 필터 살생물제란?

     

    • 이번에 문제가 된 유해화학물질은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으로, 이는 살생물제의 일종입니다. MIT는 주로 세균과 곰팡이 성장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피부, 눈, 호흡기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어 필터형 제품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유해화학물질은 이전에 큰 논란이 되었던 가습기 살균제 성분과도 동일합니다.

     

    어떤 제품에서 문제가 되었나요?

     

    MIT 검출된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8종

    • 호환 필터 42종 중 8종에서 MIT가 검출되었습니다. 해당 제품은 몽골루, 상상그램, 씨엑스텍스타일코리아 등이 제조·수입한 LG전자, 위닉스, 샤오미 공기청정기 호환 필터입니다.

     

    ✅ 중요하게 살펴보셔야 하는 점은 각 공기청정기 브랜드에서 공식으로 나온 정품이 아닌 "호환필터" 라는 점입니다.

     

     

     

    살생물제가 검출된 필터를 사용하면 어떤 위험이 있나요?

     

    • 살생물제가 포함된 필터를 사용하면 공기청정기를 통해 이 물질이 실내로 방출될 수 있습니다. 이는 호흡기, 피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와 민감한 체질의 사람들에게는 더 큰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공기청정기 필터를 선택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정품 필터 사용

    • 공기청정기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정품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 제품 정보 확인

    • 필터 구매 시 제조사, 성분, 안전 인증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 신뢰할 수 있는 판매처

    • 인증된 공식 판매처나 대형 마트 등에서 구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번 사건에서 정부는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나요?

     

    • 환경부는 문제가 된 제품의 제조·수입·판매 금지와 회수 명령을 내렸습니다. 또한 관련 업계에 안전 기준 적합 여부를 조사하도록 요청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도 사업자들에게 안전 인증과 신고 절차 이행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유해물질 검출이 의심될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사용 중인 필터에서 이상한 냄새가 나거나, 사용 후 호흡기 자극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제조사에 문의하세요. 또한 환경부와 한국소비자원에 관련 내용을 신고할 수도 있습니다.

     

     

     

     

    유해물질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었어요

     

    유해물질이 직접적으로 피부나 점막에 닿았을 때는 아래와 같이 행동해주세요.

    (출처: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 눈에 들어갔을 때

    1️⃣ 눈에 묻으면 몇 분간 물로 조심해서 씻으세요.

    2️⃣ 가능하면 콘택트렌즈를 제거하세요.

    3️⃣ 계속 씻으세요.

    4️⃣ 긴급 의료조치를 받으세요.

     

    📌 흡입했을 때

    1️⃣ 즉시 의료기관(의사)의 진찰을 받으세요.

    2️⃣ 과량의 먼지 또는 흄에 노출된 경우에는 깨끗한 공기로 제거하고 기침이나 다른 증상이 있을 경우 의료 조치를 취하세요.

     

    📌 피부에 접촉했을 때

    1️⃣ 피부(또는 머리카락)에 묻으면 오염된 모든 의복은 벗으세요.

    2️⃣ 피부를 물로 씻으세요/샤워하세요.

    3️⃣ 피부자극성 또는 홍반이 나타나면 의학적인 조치나 조언을 구하세요.

    4️⃣ 다시 사용전 오염된 의복은 세척하세요.

    5️⃣ 뜨거운 물질인 경우, 열을 없애기 위해 영향을 받은 부위를 다량의 차가운 물에 담그거나 씻어내세요.

    6️⃣ 긴급 의료조치를 받으세요.

    7️⃣ 오염된 옷과 신발을 제거하고 오염지역을 격리하세요.

    8️⃣ 경미한 피부 접촉 시 오염부위 확산을 방지하세요.

     

    📌 먹었을 때

    1️⃣ 삼켰다면 즉시 의료기관(의사)의 진찰을 받으세요.

    2️⃣ 삼켰다면 입을 씻어내세요.

    3️⃣ 토하게 하려 하지 마세요.

    4️⃣ 물질을 먹거나 흡입하였을 경우 구강대구강법으로 인공호흡을 하지 말고 적절한 호흡의료장비를 이용하세요.

     

    📌 기타 의사의 주의사항

    1️⃣ 접촉/흡입하여 생긴 증상은 지연될 수 있습니다.

    2️⃣ 의료인력이 해당물질에 대해 인지하고 보호조치를 취하도록 하세요.

     

    공기방독면
    대기오염굴뚝연기독성